본문 바로가기

Engineering/Redhat Linux

(9)
[Redhat] pacemaker를 이용한 HA cluster 구축 pacemaker란HA(High-availability)를 위한  레드햇에서 오픈소스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레드햇은 공식적으로 HA-addon이라는 명칭의 솔루션으로 명명하는 듯 하지만, A.K.A pacemaker인 것 같다.해당 솔루션을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대표적인 몇가지만 살펴보자면, pacemaker: 클러스터의 리소스를 관리하고 장애 복구를 담당한다.pcs:사용자가 클러스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인터페이스.  클러스터의 인증과 구성 등을 담당한다. corosync: 클러스터 노드 간의 통신을 관리 담당한다.  사전 설정클러스터 노드hanode1 - RHEL 8.10hanode2 - RHEL 8.10 ha repository 활성화$ yum config-manager --s..
[Redhat Linux] Shell script - IP 변경 #!/bin/bash IP_PATH=/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_FILE=$IP_PATH/ifcfg-eth0BACKUP_DIR=/home/backupHOST_FILE=/etc/hostsCURRENT_IP=$(ifconfig eth0 | grep "inet" |awk '{print $1}')## IP 입력 받기echo ""echo "Please input..
[Redhat Linux] Kernel downgrade yum을 통해 rpm을 설치하거나 업그레이드를 했을 때 dependancy 때문에 커널이 업그레이드되는 일이 벌어질 때가 있다. 모든 sw가 그렇듯 upgrade보다 downgrade가 좀 더 까다롭다. 상용 장비에서는 이런 실수를 방지하고자 yum repository를 모두 disable 시키는 편이다. [01] 현재 시스템이 가용가능한 커널 정보 확인[root@localhost ~]# grubby --info=ALL | grep ^kernelkernel="/boot/vmlinuz-4.18.0-553.30.1.el8_10.x86_64"kernel="/boot/vmlinuz-4.18.0-477.10.1.el8_8.x86_64"kernel="/boot/vmlinuz-0-rescue-e2776747db8a4..
[Redhat Linux] KVM을 이용하여 가상화 환경 구축하기 KVMKernel-based Virtual Machine의 약어로, 오픈소스 가상화 기술이다. 리눅스를 하이퍼바이저로써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KVM은 리눅스 커널의 일부이기 때문에 리눅스 커널 자원을 공유하고, 이를 본인의 리소스로써 활용할 수 있다.구축 Preliminary EnviromentBIOS > Virtualization technology - onOS: Rocky 8.8하나 이상의 Routed port네트워크  위 그림과 같이 kvm에서 관리하는 vm들이 호스트 서버와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게끔, bridge interface를 생성한다. [기존 인터페이스]$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o1TYPE=Etherne..
[Redhat Linux] Glusterfs 구축하기 GlusterFS란?  GlusterFS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기반의 분산파일 시스템이다. 여러 서버스토리지를 네트워크와 소프트웨어 적으로 하나의 디스크 풀로 묶은 후, Gluster Client들은 이에 마운트하여 스토리지에 접근한다. GlusterFS는 여러가지 유형의 볼륨 형태를 제공한다. 01) Distributed Volume 옵션을 주지 않았을 때 구성되는 Glusterfs의 기본 구조이다. 파일들을 각각 brick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RAID로 치면 RAID0와 비슷한 방식이다. 02) Replicated Volume File storage에 저장할 파일들이 양쪽 brick에 복제하여 저장하는 방식의 Volume이다. RAID1과 유사하다.  03) Str..